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독립운동가 후손과 만남의 자리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경상북도와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관장 정진영)은 6월 6일(일)에 경북도독립운동기념관에서‘나라위해 희생하신 고귀한 뜻, 잊지 않겠습니다.’를 주제로 『독립운동가 후손 3대 초청행사』를 개최하였다.
이번 초청행사에는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임종식 경상북도교육감, 권영세 안동시장, 김형동 국회의원(안동·예천), 우진수 경북북부보훈지청장, 지역 도의원 등 주요 내빈과 이동일 광복회 경상북도지부장, 경북지역 독립운동가 후손 200여명을 초청해 진행하였다.
이번 행사는 만주 망명 110주년 및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경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김은 물론, 선조들의 나라사랑과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억하고 그 후손들에게 정성을 다해 예우하고 감사함을 전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경북독립운동가 추모벽에서 경건하게 진행되는 추모식을 시작으로,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독립운동을 소재로 ‘나라사랑 굿즈’를 개발하여 판매한 경북사회적기업협동조합에 대한 도지사의 감사패 수여식과 상품판매 수익금 200만원을 광복회경상북도지부 이동일 지부장에게 전달하는 뜻깊은 순서가 진행되었다.
또한 이 행사를 마련하고 후손과 내빈을 초청한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정진영관장의 환영사와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독립운동가 후손에 대한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순서가 이어졌다. 이후 이철우 도지사는 참석한 후손들과 함께 기념촬영 및 공연을 함께 관람하였다.
이와 더불어 같은 날 함께 진행한‘경북 현충시설 체험학습 한마당’에 참여한 도민들과 함께 체험에 참여하는 시간을 가지고, 이후 관계자들의 노고를 격려하였다.
경상북도는 일제침략과 식민치하에 주권을 지키고 되찾은 독립운동의 성지이다. 가장 먼저 의병이 일어났고,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2,341명)하였으며, 만주항일무장투쟁,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의열투쟁, 사회운동, 문학운동에 이르기까지 51년 독립운동사를 빼곡히 채울 수 있는 유일한 고장이 바로 경북이다.
경상북도 사람들은 시대적 과제를 명확히 인식하고 무엇이 옳은지 선명하게 판단하여 역사적 사명을 다해나가는 데 앞장 서 왔으며 그들이 그렇게 지키고 실현시키고자 했던 가치는 정의, 자유와 평등, 생명존중, 인류공동의 번영, 소통과 화합을 통한 상생의 통합이었다.
경북사람들이 근대시기 걸어갔던 길에는 분명 이러한 정신과 명분이 있었다. 그분들이 걸어갔던 그 희망의 길이 근대 우리역사에 뿌리를 깊이 심었고 현재 대한민국의 열매가 되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행사를 통하여 우리 경상북도의 정체성이자 21세기 대한민국에도 유효한 독립운동의 가치 태동이 경북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상북도는 선조들의 나라사랑과 고귀한 희생정신을 기억하고 보답하기 위해 후손들에 대한 정성을 다하는 예우와 독립운동가 발굴사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경북도내 독립운동 관련 현충시설과 기념관에 대한 운영과 사업지원을 통하여 도민들에게 독립운동의 메시지를 전하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라고 밝혔다.
※ 기타 문의 및 안내는 아래의 연락처를 이용하면 됩니다.
전화 : 054) 820-2622~3 / 홈페이지 : http://815gb.or.kr
© 안동넷 & presstea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