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2022 탈춤공연장에 연일 수천명의 국내외 관광객이 몰리며 축제 흥행몰이에 나서고 있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예정인 ‘한국의 탈춤’ 17개 단체가 참가하며 고공행진하는 인기를 뒷받침하고 있다. 세계보편문화 탈과 탈춤을 테마로 매년 한국의 탈춤과 세계의 탈춤이 함께 어우러지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가 시작된 1997년 이후 지속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탈춤과 도지정무형문화재 등의 전통탈춤과 함께 탈과 탈춤을 테마로 한 탈의 현대화와 대중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9년까지
2022-10-04
문화 (7,085건)
세계보편문화 탈과 탈춤을 기반으로 한 국제교류의 중심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13개국, 23명이 참여하는 대사관 팸투어가 추진됐다. 9월 30일과 10월 1일 양일간 진행된 이번 팸투어는 세르비아, 핀란드, 알제리, 몽골 대사를 비롯한 나이지리아, 케냐, 루마니아, 세네갈, 벨라루스, 콜롬비아, 슬로베니아, 그리스 대사관 가족이 참여하며,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개막식 참석을 시작으로 하회마을, 도산서원, 월영교 등 안동의 관광지를 둘러보는 1박 2일 일정으로 진행됐다. 특히 대사관 팸투어단은 안동의 관광지와 더불어 안동병원의 의료시설을
2022-10-04
국가무형문화재 안동차전놀이보존회(회장 이재춘)에서는 2022년 정기발표공연을 10월 2일 안동역 앞 도로에서 펼쳤다. 수천명의 관람객이 원도심 중앙을 가득 메우며 도심권역 전체가 환호성으로 휩싸였다. 민속문화의 정체성을 오롯이 지키면서도 이번 축제의 킬러 콘텐츠로서 축제 흥행을 이끌었다. 안동차전놀이는 안동지방에서 1천여 년 전승되어 오는 세계최대규모의 상무정신이 깃든 민속놀이이며 일명 ‘동채싸움’이라고도 한다. 안동차전놀이는 후삼국시대에 고을의 삼태사(김선평, 권행, 장길) 가 고려의 왕건을 도와 고창(안동의 옛 지명) 전투에서
2022-10-02
하회마을 탈춤공연장에서 펼쳐지는 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 공연에 연일 구름인파가 몰리고 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2022 축제기간 중 매일 2시에 개최되며 외국인 관광객, 수도권 관광객 등이 대다수로 전통 탈춤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2022-10-02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축제 브랜드 가치를 지키면서도 원도심으로 적극적으로 진출해 큰 변화를 이끌어 가고 있다. 안동 원도심 전역에서 재미와 감동이 있는 체험 콘텐츠가 이어지며 수천명의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환호성이 터져나오고 있다. 2022년 탈춤축제는 원도심 내 가장 넓은 도로의 구간 일부를 무대로 활용함으로써 시민들과 관광객들에게 거리에서 느끼는 해방감을 선물함과 동시에 공연자와 관광객, 원도심 내 상인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거리형 축제로서의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경동로 거리무대, 홈플러스 앞 경연무대, 웅부공원 민속무대,
2022-10-02
9월 29일부터 10월 3일까지 5일간 열리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안동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가운데 지역 예술인들이 중심이 된 찾아가는 상가 공연 ‘마스크 버스킹’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클래식, 국악 트로트 등 분야별 예술인 30여 명이 시내 전역을 돌아 다니며 특색있는 공연을 펼친다.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라이브 방송도 진행되며 안동시민, 관광객과 직접 소통하는 관객 중심형 소통형 공연으로 진행되고 있다. 마스크 버스킹은 지역 축제를 기반으로 지역 예술인과 지역 상가가 결합해
2022-10-02
제49회 안동민속축제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며 (사)안동자연색문화원이 주관한 ‘2022 자연염색패션쇼’가 10월 1일 웅부공원에서 열렸다. 자연색문화원 김주자 원장과 회원 12명, 일반 시민 19명, 어린이 13명이 참여해 자연염색으로 얻은 고운 색감의 한복을 입고 맵시와 아름다움을 한껏 뽐냈다. 모두 12개 스테이지(무대)로 진행된 패션쇼는 안동자연색문화원 회원들이 쪽과 호두껍데기, 양파 껍질과 감물 등 자연 염료를 채취해 물들인 옷감으로 제작한 조선시대 군복의 하나로 서민들이 겉옷 위에 덧입는 옷인 쾌자, 우리나라 고유의 겉옷인 두
2022-10-02
제49회 안동민속축제 참여단체들이 모여 결성된 전통민속길놀이단 500여 명의 커다란 함성이 문화공원에 울려 퍼졌다! 각 참여 단체들의 주제에 맞는 소품과 의상을 활용한 전통 민속 길놀이는 안동민속축제의 꽃으로 불린다. 행악인 안동 취타대를 선두로 경쾌한 음악과 함께 힘찬 행진으로 관중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그 뒤로는 장원급제 행렬(영가시회), 유림 행렬(전례문화보존회), 아낙네 행렬(성균관여성유림회 안동지부) 등이 이어졌다. 각각의 단체들은 의복을 갖추어 입고 장원급제자, 두루마기를 입은 유림, 옛날 농촌 부녀자 등의 모습을 연출
2022-10-02
제49회 안동민속축제 셋째날인 10월 1일 모디 684대로에서 경상북도무형문화재 안동놋다리밟기 초청공연이 열렸다. 제49회 안동민속축제의 부제인 “안어대동 그 천년의 꿈”이란 주제로 1부: 노국공주 “다시 찾은 안동 661년 전을 회상하다’라는 연극과 2부: 실감기, 실풀기, 대문놀이, 꼬리따기, 웅굴놋다리, 줄놋다리, 꼬깨싸움, 줄놋다리 등의 공연과 3부에서는 신명나는 시민한마당놀이 한마당을 펼쳤다. 놋다리밟기는 안동지방에서 작은 보름날이나 대보름날 마을 중심으로 부녀자들이 동부와 서부로 갈라 놀았던 안동의 대표적인 여성대동놀이로
2022-10-02
가상의 공간 속에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만나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메타버스관’이 축제장 내에 설치되어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전하고 있다. 메인로비, 메인무대, 안동홍보관, 탈춤공연장, 공모전 전시관, 한국 탈전시관, 하회관, 각시탈의 비밀의 8개 공간으로 구성된 메타버스관은 오프라인과 메타버스가 융합되는 탈춤 유니버스를 보여주고 미래 축제를 제시하며, 각양 각색의 탈 콘텐츠를 선보이기 위해 구축됐다. 2022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장에 최초로 설치된 메타버스관은 2층으로 구성된 콘테이너 하우스에 조
202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