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7,000건)

한국국학진흥원 10년사 발간 배부
민간소장 국학자료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 출발해 이제는 한국학 연구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성장한 한국국학진흥원은 지난 10년의 역사를 담은 ‘한국국학진흥원 10년사’를 발간하고, 각 기관 단체 및 관련학계에 배부하였다. 이 책은 사진으로 보는 10년의 발자취, 연혁편, 부문별 사업성과, 현황편, 부록편으로 나누어, 1995년 국학진흥원 설립을 위한 준비 단계에서 부터 본격적인 국학자료 수집 및 연구를 수행한 성장기와 앞으로의 전망까지를 총415쪽 분량에 담고 있다. 민간소장 국학자료의 수집 및 보존을 위해 1995년 12월 첫 출발을
2007-08-21

안동한지, 최고의 한지공예 체험장으로 자리매김
안동을 찾는 체험 관광객들에게 필수 답사코스로 안동한지가 유명세를 타면서 하루 1,000여명의 체험객이 몰리는 등 우리나라 최고의 한지 체험장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지난 1988년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설립된 안동한지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닥나무 원료와 전통방식을 고집하며 최고급 한지류를 생산해 내고, 전통의 한지제조방식을 체험프로그램으로 운영하면서 약관(弱冠, 20세)의 짧은 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최고의 체험 학습장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됐다. 안동한지 공장에는 매년 30여만명이 찾고 있으며, 올들어서는 경북관광개발공사 가족체
2007-08-21

지역 특산품 전담팀 구성, 전통브랜드 육성 본격화
안동시가 안동포, 향토음식, 고택 등 전통 생활양식인 의식주(衣食住)와 안동한지 등 지역특산품을 체계적으로 브랜드화하기 위한 전담팀을 구성, 경쟁력 제고에 나서고 있다. 안동은 과거부터 안동포와 안동의 향토음식, 양반문화를 바탕으로 한 고가옥(한옥), 한지 등이 유명세를 타고 있었으나, 그동안 행정력이 미치지 못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안동시에서는 지난 조직개편에서 경제과학과에『전통의상한지담당』을, 문화관광과에『전통음식문화담당』을 신설하여 전통 브랜드 육성에 본격 나서고 있다. 안동지역의 전통의상은
2007-08-21

전 세계의 탈이 한자리에 !『하회동 탈 박물관 』
뛰어난 마을경관과 함께 기와집과 초가가 조화를 이루고 양반문화와 서민문화가 잘 어우러져 한국의 전통을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곳으로 알려진 하회마을에는 매년 백만에 육박하는 관광객들이 찾는 가운데, 하회마을 입구에 위치한 하회동탈박물관에도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의 인기와 세계의 탈들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곳으로 알려지며, 지난 95년 개관이후 2백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등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지난 99년 엘리자베스Ⅱ세 영국여왕 방문 직후 연간 30만 명이 찾은 것을 비롯해 사립박물관으로선 보기 드물게 매년 12만명 정도가 꾸
2007-08-20

문화관광상품 소비 증대를 위한 전략
안동지역 문화관광상품의 소비증대를 위한 제4차 포럼이 16일 안동시 지역혁신협의회 주관으로 열렸다. 안동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린 포럼에서는 안동지역 관광상품 현황에 대한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관광상품 개발과 수입증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안동시지역혁신협의회는 그동안 관광공예품 개발방안과 지역관광과 체험학습 등을 주제로 포럼을 여는 등 안동지역 문화관광산업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다.
2007-08-16

독립운동 성지다운 태극기 물결
제62주년 광복절을 맞아 독립운동의 성지인 안동에 태극기 물결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지난 10일 천전리 옛 협동학교 자리에 안동독립운동기념관과 협동학교를 복원해 개관한데 이어 광복절 경축 분위기 고조를 위해 독립운동 개관 전날인 지난 9일 부터 대대적인 태극기 달기 운동을 펼친 결과 각 가정마다 내 건 태극기가 물결치고 있다. 사진은 안동시 옥동 삼성1차 아파트의 태극기를 게양 모습을 15일 촬영한 것입니다.
2007-08-16

안동독립운동기념관 광복절 맞이 이벤트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제62주년 광복절을 맞아 태극기 스탬프 찍기와 기념사진 촬영행사”를 가졌다. 태극기는 1882년 특명전권대사 겸 수신사인 박영효 등이 일본에 갔을 때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후 다양한 태극기가 사용되다가 1949년 국기시정위원회가 구성되어 현행국기가 확정되었다. 또 기념관 전시실 정문에는 일제로부터 해방되는 기쁨을 함께하는 인물상을 전시해 많은 관람객들의 사진촬영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광복기념 사진촬영으로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고, 태극기 스탬프 찍기를 통해 태극기의 유래와 변화를 시민들이
2007-08-16

광복절 맞아 시민의 종 타종식 가져
안동시에서는 광복62주년 광복절을 맞이하여 잃었던 국권회복을 위하여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애국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시민의 종』 타종행사를 가졌다. 이번 타종행사에는 독립유공자 및 유족 40여명이 참석하여 4명이 한조가 되어 총 11개조로 편성, 각 조별 3회씩 타종하여 총 33회의 타종을 실시하게 되며 타종행사 진행을 돕기 위해 옛 관아를 지키던 수문군이 전통복장을 하고 나와 도우미 역할을 해 또다른 볼거리를 제공했다. ※ 사진설명 : 첫번째 사진은 안동에서 유일한 생존 독립운동 유공자인 이
2007-08-16

독립운동기념관 광복절 제62주년 기념행사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제62주년 광복절을 맞아 태극기 스탬프 찍기와 기념사진 촬영행사”를 실시한다. 태극기는 1882년 특명전권대사 겸 수신사인 박영효 등이 일본에 갔을 때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후 다양한 태극기가 사용되다가 1949년 국기시정위원회가 구성되어 현행국기가 확정되었다. 또 기념관 전시실 정문에는 일제로부터 해방되는 기쁨을 함께하는 인물상을 전시하였다. 안동독립운동기념관은 광복기념 사진촬영으로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고, 태극기 스탬프 찍기를 통해 태극기의 유래와 변화를 시민들이 정확하게 알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
2007-08-14

지역 노인의 사회 참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
안동예절학교청소년수련원에서는 노년층의 가치 있는 노동력 재창출의 의미로 향후 청소년을 비롯한 지역민에게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동기 부여의 계기를 마련하고, 지역의 전통문화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으로 노인들에게 어울림 마당을 제공하기 위해 “지역 노인의 사회 참여를 위한 문화예술 교육”사업에 참가할 대상을 모집한다. 다음달 4일부터 10월 27일까지 안동예절학교와 각 문화재 현장을 탐방하며 실시될 본 사업의 참가 대상은 지역의 65세 이상 노인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선착순 30명)하다. 전액 무료로 실시되는 이번 프로그램은 유교ㆍ
2007-08-14